
"내 머릿속에 쐬꼬챙이 하나 있다!"
이 밖에도 비슷하게 얼굴 두꺼운 친구들이 더러 있다 하지만 진중권만큼 얼굴이 팔린 이들은 아니니 굳이 이름까지 적시할 필요는 없는 일이겠다
그러므로 진중권이 티비 토론 등에서 뭘 그깟 욕설 좀 들었다고 난리냐 대한민국서 젤로 많은 욕을 먹고 있는 게 나 진중권이다 그래도 나는 모욕감 안 느낀다 는 식의 말을 하는 건 지나친 일반화다 과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컨대 어제 백분토론에 나온 어느 경제학자 같은 경우는 그런 말 들으면 아마 견디기 힘들었을 것이다 오죽하면 공중파 방송에 대고 자기 입으로 '또라이' 운운하는 소리까지를 했겠는가[footnote]이때 나온 손석희의 멘트 진짜 죽여줬다 미네가 내 글에 대고 '또라이'라고 했는데.. 이런 말 해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하는 지점에서 손석희 왈, "이미 말씀하셨습니다" ㅎㅎ[/footnote]
무튼 나는 상대가 뭐라 하건 거기에 별로 개의치 않는다 오히려 살짝 웃음이 나올 때가 더 많다 이를테면 내 블로그에서도 나는 자주 개쉐이 소쉐이 소리를 듣는다 그런데 이거 들으면 화가 나기는 커녕 입가에 잔주름부터 진다 어~ 저 넘 참 이상한 넘일세.. 하면서
이것도 내가 무슨 별종이거가 해서는 아니고 사실이 그래서다 하민혁은 사람인데 거기다 대고 개쉬이 소쉐이라고 하니 그런 말 하는 이가 살짝 정신이 나갔거나 오감 기관에 이상이 있는 걸로 보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쉐이 소쉐이 한다고 해서 내가 개쉐이 소쉐이 되는 것도 아니니 그런 말에 연연할 이유가 없는 것이고 살짝 웃음이 날 밖에는
사설이 길었다
이렇게 웬만한 펀치에는 끄떡 않는다고 자부해온 내가 오늘 어떤 이에게 된통 한방 얻어 맞았다
블로그에 들와보신 분은 알겠지만 처음에 말을 건넬 때 나는 약간 삐딱하게 건네는 편이다 대개는 첫 마디를 아주 까칠하게 건넨다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냥! 그런 다음 나타나는 상대의 반응을 보는 일이 사뭇 재밌어서다 퍽~! ★⊙
일반적으로 상대가 까칠하게 나오면 그 상대 또한 까칠한 반응을 보이기 마련이다 이는 지극히 정상적인 대응 방식이다 까칠하게 한마디 던졌다가 이런 반응 나오면 그냥 패스하고 언능 일반적인 응대 모드로 전환해버린다 더 해봤자 재미가 없어서다 재밌는 건 이같은 말 걸기를 아주 못 견뎌 하는 경우다 바르르~ 떨면서 살짝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친구들이다
그런데 가만히 살펴보면 이같은 반응을 보이는 이 들 중에도 미세하지만 큰 차이가 있다 기분 나빠 하면서 불쾌함을 토로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이가 있는가 하면 불쾌하다는 반응을 넘어 그것을 결코 못 견뎌 하는 그래서 거의 발광의 수준까지 보여주는 이가 있다
흔히 온실 가정이라 부르는 아름다운(?) 환경에서 자란 이들은 대개 전자의 경우에 속한다 후자의 경우는 나도 잘 모르겠다 왜 그처럼 공격적이 되는 건지 암튼 약간의 충격만 가해져도 엄청난 공격 성향을 보이는 이들이 있다 큰 차이이긴 하지만 이 차이가 워낙 미세한 부분에서 차이가 나는 터라 바로 알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하는 놀이가 성질 부추기기다 본격적인 놀이도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방법은 간단하다 광분해 있는 이에게 다가가서 잠재되어 있음직한 그의 공격 성향을 살살 건들어보는 것이다 내가 생각해도 아주 못돼먹은 짓이다 (자주 반성은 하지만 아직도 못 고치고 있는 게 이 짓이다 어떤 이 말로는 내가 일종의 애정결핍 증세가 있어서라는데 직접 확인을 해보지는 않았다 진짜 그렇다고 나오면 좀 허탈해질 것같아서다 이런 재미를 놔두고 산다면 건 너무 삭막할 것같더라는 얘기다)
에니웨이, 이같은 성질 건드리기를 해보면 그 사람 성향이 대충 드러난다 온실서 자란 과인지 아니면 온실서 자란 척 하는 과인지가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하다
먼저 온실서 자란 과인 경우는 자기 분을 못 이겨 하긴 해도 일정 정도 선을 넘지는 못 한다 그냥 제풀에 지쳐서 나가 떨어진다 안 보면 되지 하고 발길을 끊어버린다 반면에 이와는 달리 반응하는 과가 있다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이들이다 이들은 하다하다 안 되면 37대조 할아버지까지 겨올라가서라도 기어이 뭔가 꼬투리를 잡아서 끝장을 봐야 성이 풀려 한다
성공신화 어쩌고 하는 데 나오는 친구들이 거의 이 과에 속한다 한마디로 대단한 과다 하지만 다른 한편 살짝 거시기한 구석이 없지 않은 게 또 이 과다 이과에는 병맛이라는 특성이 있다 성공에 이르는 과정에서 이들은 스스로의 한계라고나 할까 자주 병맛인 행동을 보인다 한번 물면 죽을 때까지 안 놓는 도사견의 행동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 과와 함께 한다는 건 상당한 고역이다 상대를 화나게 하는 건 확실히 재밌는 일이지만 상대의 한계까지를 보는 일은 여간 씁쓸한 게 아니어서다 게다가 어쩌다 글이라도 엮이게 되는 경우는 씁쓸함을 넘어 곤혹을 치르기 십상이다 죽기 아니면 까무러치기로 아예 진흙탕에서 나뒹군다 대책이 무대책이다
낯짝 두꺼운 내가 오늘 한방 얻어맞았다는 얘기가 어째 삼천포로 빠졌다 늘 그렇듯이 아무 생각 없이 글을 쓰다보면 이게 지금 동으로 가는지 서로 가는지 모를 때가 더러 있다 지금이 딱 그렇다 정리하자
오늘 어느 블로그에 들렀다가(쪽 팔리서 링크 안 건다) 댓글 하나를 남겼다 배배 꽈서 말을 건넸으리라는 건 뭐 굳이 안 봐도 비디오겠다 근데 이 친구 답이 장난이 아니다 오히려 나를 갖고 놀고 있다 능글능글한 웃음(보이진 않지만 그렇게 보인다)까지 지어보이면서다 그리고는 결정적인 한마디를 툭 던진다 아주 점잖게 하민혁이 니는
"비판보다는 '비판자' 비판에 더 열심이신 넘!"
이라고
할말이 없다 이런 거 한방 맞고 나면 솔직히 한동안 벙~ 찐다 이건 아닌데 말이다 생각 좀 해봐야겠다
<덧붙이는글> 사실 이거 새해 들어 벌써 두번째 당하는(?) 일이다 며칠 전에도 뭐라뭐라 날뛰다가 한방 맞았다 쎄게 맞은 건 아니지만 그 데미지가 이번 거에 더해진 것만은 분명해보인다 이래 가지고 약속한 1년 글쓰기를 채울 수 있을지나 모르겠다 <통신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