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탁월한 예언
 
참여정부 말기에 유시민은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나라가 망하지 않는다.>라는 말을 한 바 있다. 그리고 노무현 전 대통령은 고건 등 당시 범여권 대선주자에 대하여는 혹독하게 비판하면서도 유독 이명박에 대하여는 우호적인 제스춰를 취한 바 있다.
 
때문에 그 즈음에 <노명박>이라는 말이 일부 대중 사이에서 유행했었다. 당시 가장 유력한 대선후보였던 이명박으로부터 <퇴임후 안전보장>을 약속받기 위해 노무현이 미래 권력 이명박을 많이 봐주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었다.
 
물론, 그런 의혹이 사실일 리는 없었다. 노무현의 적극 지지자들인 노빠들의 이명박에 대한 증오감은 그 누구보다도 강했기 때문이다. 비록 그렇게 열렬하게 이명박을 증오하는 자들이 문국현에게 표를 몰아주고 결과적으로 이명박 당선의 1등 공신이 된 점은 아쉬운 대목이기는 하지만 말이다.
 
어쨋든, 노무현과 이명박이 손 잡았다는 의미의 <노명박>이라는 말은 이명박이 집권하면서 거의 기정사실로 되는 듯이 보였다. 전임 대통령 노무현과 현직 대통령 이명박간에 달콤한 신혼시절(허니문)이 형성되는 듯 했고 여차하면 허니문 베이비까지 태어날 듯도 싶었다.
 
그런데, 이명박에게 정권이 넘어가고 고작 1년이 지난 이 시점에서, 노무현은 자살하기에 이르렀다.
 
일단 나는 노무현이 <처자식과 똘마니들이 돈 받아먹은 사실>이 쪽팔리고 감빵가기 싫어서 자살을 선택했다고 본다.
 
노무현은 2002년 대선에서 이회창의 아들이 군대 안 간 것을 집요하게 공격하여 큰 재미를 본 사람이다. 이회창이 아닌 이회창의 아들이 합법적인 절차로 군대 안 간 것인데도, 노무현은 <정치적 연좌제>를 적용하여 집요하게 의혹을 제기하였고 결국 이회창을 이겼다.  
 
이런 노무현이라면, 자기 처자식과 똘마니가 돈 받아 먹은 것에 대하여는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었을 것이다.
 
물론, 이런 나의 생각과 별개로, 노빠들은 <이명박이 노무현을 죽게 했다.>라고 요새 떠들고 있다. 유시민은 <같은 방법으로 복수 할 수 없어 안타깝다.>라며 적반하장까지 하고 있다. 나는 그들의 주장에 전혀 동의하지 않지만, 노빠들은 좌우당간 그렇게 박박 우기고 있다.
 
노빠들의 주장이 맞다고 치자. 그렇게 본다면, 노무현은 자기가 만든 대통령 이명박에게 뒤통수를 얻어맞은 꼴이 된다. 고건등에 대해서는 가혹했으나 유독 이명박에 대하여는 침묵을 지켰던 노무현의 기대가  처참하게 깨진 것이다. 노무현은 믿었던 도끼에 발등을 좀 세게 찍혔다. 노무현의 예상은 100% 빗나갔다.
 
반면, 유시민의 예언은 50%는 맞았다.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나라가 망하지 않는다.>라고 유시민은 대(大)예언을 하였는데, 아직까지 대한민국은 망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집권함으로 인해 노무현은 자살하기에 이르렀다. 친노들에게는 나라가 망한 것보다 더 큰 일이다.
 
물론, 노무현의 자살 덕택에 유시민이 요새 재미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점에서 노무현의 자살이 적어도 유시민에게는 나라가 망하는 정도로 나쁜 것은 아닐 수 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한나라당이 집권해도 나라가 망하지 않는다.>라고 한 유시민의 대(大)예언은 100% 적중했다고 볼 수도 있다. 점집 차려도 되지 않나 한다.
 
유시민의 탁월한 예언 / 임충섭 (cslim003) | 06.07 22:10
http://hantoma.hani.co.kr/board/view.h ··· 3D265491


2009/06/08 22:54 2009/06/08 22:54


한겨레, 가장 큰 책임은 노무현, 축소 보도

정략의 함정에 빠져, 왜곡보도와 말바꾸기 일삼는 자충수
 
  

변희재 / 허수현 기자, bignews@bignews.co.kr

등록일: 2009-06-08 오후 1:46:50



 
  ⓒ 주간 미디어워치 13호 표지
 

지난 6월 1일자 한겨레신문의 1면에는 ‘국민 59% 노 전대통령 정치보복 당해’라는 여론조사 관련 기사를 올렸다. 이는 한겨레신문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플러스에 맡겨 지난 30일 전국의 19살 이상 1000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이다. 한겨레신문은 5면에 ’노 전대통령 서거 책임 검찰 다음 언론‘이라는 조사 결과를 제목으로 뽑았다. 그러나 실제 한겨레신문의 조사 결과 가장 큰 책임이 있는 쪽은 검찰도 언론도 아닌 노 전 대통령으로 나왔고, 한겨레신문이 이를 축소하여 보도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겨레는 통상적인 여론조사와 달리 8가지의 문항을 주고 “이 사건에 누가 가장 큰 책임이 큰지에 대해 1순위와, 2, 3순위를 복수로 응답하게 한 결과 56.3%는 검찰, 49.1%는 언론을 꼽았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한겨레신문의 조사 원문에는 가장 큰 책임이 있는 1순위는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 27.9%, 검찰 22.7%, 언론 15.5%보다 더 높은 결과가 나왔다. 8개의 항목은, 노 전 대통령, 검찰, 언론, 이외에 이명박 대통령, 한나라당과 여권, 민주당과 야권, 우리나라 국민들, 기타로 되어있다.

한겨레, 검찰 책임 24%를 56.3%로 부풀려

한겨레의 보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응답자들이 1순위로 응답한 노 전 대통령의 책임이 가장 크게 나온 결과에 대해 1면에서 배제했고, 5면에서 간략히 언급한 점. 또한 한겨레신문은 책임의 정도에 대해 1, 2, 3순위 등 가중치를 주었으면서도 이를 단순 합산하여 검찰 56.3%, 언론 49.1%로 수치를 높여 노 전대통령 36.7%보다 더 큰 책임이 있는 것처럼 사실 상 왜곡보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1, 2, 3 순위를 합산한 통계표상 무응답까지 포함한 응답비율을 합치면 234.9%가 전체 합산한 비율임에도, 한겨레의 보도에는 100분율을 그대로 적용 마치 국민의 56.3%가 검찰의 책임, 49.1%가 언론의 책임을 물었던 것처럼 되어있다. 전체 합산비율 234.9%를 100%로 놓고 각 선택지 비율을 재환산할 경우 검찰 책임으로 응답한 비율은 56.3%가 아니라 23.97%로 크게 떨어진다. 결국 여론조사를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노 대통령에 가장 큰 책임이 있다는 결과를 감추고, 24%대에 불과했던 검찰 책임을 56.3%로 부풀린 셈이다.

또한 8개 선택자 중 선택지로서 큰 의미가 없는 민주당과 야권, 우리나라 국민들, 기타 등을 추가 응답자들이 3개 항목을 선택하도록 유도했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질문지에는 뚜렷한 기준 없이, 검찰과 언론을 2, 3번 항목에 배치해놓았다.

한겨레신문은 5면 기사에서 “노 전 대통령 서거의 책임과 관련한 응답 1순위에서 단순 수치로는 ‘노 전 대통령 자신(27.9%)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고 언급을 하면서도 바로 “그러나 검찰(22.7%), 이명박 대통령(14.2%), 한나라당(10.5) 등을 합할 경우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7.4%에 이르렀다”며 논점을 바꿔버렸다. 즉 8개 항목을 자의적으로 배치한 점을 최대한 이용한 것이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만약 이렇게 단순 합산을 하겠다면, 질문항목에 권양숙 여사, 정상문 전 비서관, 박연차 회장 등등도 넣었어야 했고, 그럼 결과가 판이하게 달랐을 것”이라며 한겨레신문사 측의 의도를 지적했다.

이외에도 질문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된 질문 항목도 보인다. “귀하깨서 이명박 대통령이 앞으로 국민들에 대한 국정운영 방식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항목을 “지금까지 해 온 대로 법과 질서를 유지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와 “지금보다 국민의 여론수렴과 소통을 더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로 두 개를 배치했다. 그러나 법과 질서 유지를 강화하는 것과 국민의 여론수렴과 소통을 더 강화하는 것이 완전히 배치되는 항목이냐에 대해 다른 의견이 나오고 있다. 다른 여론조사 전문가는 “국민의 여론수렴과 소통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항목은 매우 포괄적이며 그 누구도 동의할 수 있는 항목이므로, 법과 질서를 유지 강화한다는 항목과 대치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이 질문에 대해 무려 86,2%의 응답자가 여론수렴과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자살에 대한 입장을 180도 뒤바꾼 한겨레

또한 한겨레는 질문지 전체 항목에 ‘노대통령의 서거’라는 표현을 쓰면서, 이에 대한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여지를 주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는 정치보복 때문이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귀하께선 이 의견에 공감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 21.0%, ‘그런 편이다’ 38.3%의 응답비율이 나오기도 했다.

한겨레신문은 노 전 대통령의 자살 직후부터 이를 하나의 투쟁 수단으로 정략화하는 편집으로 급선회했다. 5월 24일자 사설에서는 “민주주의와 진보, 정의 등의 깃발이 시대의 광풍에 휩쓸려 스러져가는 것을 막아야 할 당위성만큼은 분명하다. 바보 노무현의 죽음이 결코 바보짓만은 아니게 만드는 길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볼 때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는 주장을 결론으로 담았다.

그러나 이러한 한겨레의 자살 예찬은 노무현 정권 당시 자살한 남상국 전 대우건설 사장, 정몽헌 현대그룹 회장 등에 대하여 자살을 미화하지 말자고 주장해온 과거 논리를 완전히 뒤집었다는 비판을 듣고 있다. 한겨레신문은 2004년 4월 30일자 사살에서 “자살하는 사람이 많은 사회는 병든 사회다. 저명인사들의 잇따른 자살은 그런 점에서 우리 사회의 상층부가 건강하지 못하다는 징표이기도 하다. 게다가 그동안 우리 사회는 자살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람들에게 면죄부를 주는 분위기가 은근히 있었고, 심지어 이들의 자살을 미화하고 정치적 공방의 소재로까지 삼았다. 이제 이런 ‘자살 방조’ 행위가 용납돼서는 안 된다. 그래서 더 이상 불행한 자살행렬을 보지 않았으면 한다.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일갈했다.

또한 한겨레신문 자체가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 당시 ‘건호씨 유학자금 관련 포괄적 뇌물죄’(5월5일치 4면), ‘피의자 노무현’(5월1일치 23면 사설) 등에서 노 전 대통령의 책임을 거론해왔고, 노 전 대통령, 재직 중 알았다면 포괄적 뇌물죄 가능성’(4월8일치 4면), ‘500만달러 투자 위장 노무현 쪽에 건네졌을 의혹 커져’(4월9일치 3면) 등 검찰발 보도를 충실히 따라왔다.
이런 과거의 보도가 문제가 되자 한겨레신문은 6월 5일자 ‘한겨레, ‘표적사정’ 맥락 못 짚고 검찰발표 의존‘이라는 기사에서 김유진 민주언론시민연합 사무처장의 “한겨레가 ‘친노’란 딱지가 붙을까 두려워 분명 정치적 의도로 진행된 ‘박연차 수사’의 정치적 배경과 목적을 깊이 추적하는 보도보다는 아주 상식적인 선에서 ‘철저하게 수사해서 의혹을 밝혀야 한다’는 보도태도에 머물렀던 게 아닌가 싶다”는 발언과, 최영묵 성공회대 교수의 “조중동이 노 전 대통령을 공격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동원해 무차별적으로 노무현 때리기를 시도했는데 한겨레도 많이 따라갔다”는 발언을 인용하며 자아비판했다.

중도우파 시민사회, “한겨레는 앞으로 비리혐의자 관련 보도 일체 하지마”

그러나 이에 대해서도 한겨레신문이 과거 2002년 이회창 전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아들 병역비리에 대해서 무차별 추측 보도를 일삼아왔고, 2007년 대선에서는 이명박 후보의 BBK 관련 의혹에 대해서도 마치 혐의가 있는 듯 단정적 보도를 해왔다는 점에서 이중적이라는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미디어발전국민연합의 강길모 공동대표는 “한겨레신문이 노 전 대통령 보도에 대해 비굴할 정도로 자아비판을 하겠다면, 이회창, 이명박 전 후보에 대한 보도부터 먼저 반성해야할 것이며, 삼성 X파일 사건 등등 향후 그 어떤 공인들의 비리 혐의 관련 보도도 원천적으로 하지 않아야 할 것”이라며 한겨레신문의 자가당착을 꼬집었다.

실제로 진보성향의 박경신 고려대 법학과 교수는 미디어오늘에 기고한 ‘언론책임론 방향 잘못됐다“는 칼럼에서 ”‘유죄확정 전까지는 범죄수사에 대해 드러난 단서들의 보도는 공인이라 할지라도 자제해야 한다’는 범위까지 확대되는 것은 곤란하다“ 언론 책임론에 대한 문제점을 거론했다.

현재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인 천신일 회장의 수사도 남아있고, 앞으로 현 정권의 비리 혐의자에 대한 수사가 점차 늘어날 텐데, 검찰 수사 관련 보도를 강력히 비판해버린 한겨레신문이 자신들의 장점이나 다름없는 비리 혐의자 관련 보도를 자제하며 대폭 축소할지, 중도우파시민사회는 집중 감시할 것이라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주간미디어워치 변희재 / 허수현
http://bignews.co.kr/news/article.html?no=230727 (새 창으로 열기)
2009/06/08 18:50 2009/06/08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