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장집 교수
‘반이명박’ 넘어 ‘대안정부’ 준비해야
- ‘노무현 이후’ 남겨진 과제

오늘날의 한국사회에서 민주주의의 원리와 제도를 존중하고 이를 뿌리내리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제 그것에 반해서는 정치 안정도, 사회 안정도, 정권 유지도, 정책 추진도, 경제 발전도 가능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대규모 촛불시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안타까운 죽음, 전국적인 애도와 정부 비판의 큰 흐름은 이를 실증한다. 이명박 정부의 가장 큰 문제는 이 평범하지만 자명한 사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한국의 서민, 소외 세력이 배출한 대통령의 인간적 고뇌와 굴욕감은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분노를 일으켰고 그가 지키고자 했던 이상과 가치는 깊은 공명을 가져왔다. 민주화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정치적 출로도, 어떤 정신적·심리적 의탁도 갖지 못한 보통의 시민들에게 그의 죽음은 말할 수 없는 상실감을 가져다주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따지고 보면 한국의 민주화는 권위주의 체제를 타파하는 데까지만 허용되고, 사회 여러 부문과 정당 체제, 나아가 체제의 운영 원리를 새롭게 만드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대통령으로서 노무현 개인에 대해 과도하게 책임을 물었던 때도 많았다. 사실 그의 성취와 한계는 넓게는 한국 민주주의 전체, 좁게는 민주화 세력 스스로의 모습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는 민주화 세력 사이에서도 지난 정부, 지난 정치인들에 대해 지나치게 책임을 따지는 것보다 다음 시대를 준비하는 데 힘이 모아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어떤 선택이 가능한가?

야당을 강화하여 현 정부를 대체할 대안 정부가 될 수 있는 길을 찾는 일의 중요함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기 어려울 것 같다. 방향에 대한 선택은 이처럼 비교적 간단하지만,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는 일은 무척 어려운 것이 오늘의 정치 현실이다. 지난 경험을 통해 우리는 집합적 열정을 불러일으켜 권력에 항거하는 것보다, 이를 정치적으로 조직하여 집권파의 권력 남용을 견제하고 궁극적으로 차기 정부가 될 강력한 대안 세력을 형성해가는 것이 훨씬 더 어렵다는 사실을 배웠다. 권력에 항거하는 열정의 분출이 반이명박 정서를 최대화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대칭적 양분 구조가 가져올 정치적 효과는 기대와 다를 수 있다. 국내외의 수많은 역사적 사례가 보여주듯이, 운동과 제도의 체제가 분리된 양극화된 갈등 구조는 보수의 장기 집권에 기여하는 결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제1야당으로서 민주당이 대안 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보수정부가 할 수 없는 영역을 대표하고, 정책 대안을 개발하고, 지지 기반을 다져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주당은 외부로부터 인적 자원을 수혈하는 데 훨씬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 또한 지금과 같은 보수적 이념에서 훨씬 더 개방적이고 유연해야 하고, 실현 가능한 성장 정책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 경제적 이슈와 노동문제를 회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다뤄야 하고, 기존의 진보적 정당이나 노동운동과도 적극적인 연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모든 변화의 요구들은 새로운 리더십의 창출과 병행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 노무현 대통령의 집권 과정은 정치의 방법을 통해 대중적 에너지를 어떻게 결집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 하나의 모델이었다. 그가 오늘의 정치 지도자들, 정치인들, 정치 지망생들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의 하나는, “모나면 정 맞는다”라는 말로 압축된 보수적 정치 규범에 순치되지 않고 보여준 과감함이다. 정치에서 비난받을 일은 대중의 에너지를 허비하는 일이다. 오늘의 한국 민주주의는 7년 전 노무현이 이룩한 일을 성취해낼 또다른 노무현을 요청하고 있다.

최장집(미국 스탠퍼드대 교환교수)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 ··· 948.html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2009/06/01 18:40 2009/06/01 18:40

Trackback Address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윤복현 2009/06/01 21:47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제1야당으로서 민주당이 대안 정부가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보수정부가 할 수 없는 영역을 대표하고, 정책 대안을 개발하고, 지지 기반을 다져가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주당은 외부로부터 인적 자원을 수혈하는 데 훨씬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 또한 지금과 같은 보수적 이념에서 훨씬 더 개방적이고 유연해야 하고, 실현 가능한 성장 정책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 경제적 이슈와 노동문제를 회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다뤄야 하고, 기존의 진보적 정당이나 노동운동과도 적극적인 연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그러나 이 모든 변화의 요구들은 새로운 리더십의 창출과 병행하지 않으면 가능하지 않다. [최장집]

    => 그러나 현재 친노세력이 장악한 민주당은 한나라당 정책기조와 다를 바가 없는 뉴플랜선언으로 한나라당 2중대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성장 정책을 추구하는 동시에 사회 경제적 이슈와 노동문제를 회피하지 말고 정면으로 다뤄야 하고, 기존의 진보적 정당이나 노동운동과도 적극적인 연대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을 거부하고 자기들 밥그릇이나 챙기려는 옹졸한 정치의식가지고는 분열만 자초하며 한나라당만 도와주는 2중대 역할을 할 뿐이다.

    • 하민혁 2009/06/02 01:30  댓글주소  수정/삭제

      어, 윤복현님.. 반갑습니다. 잘 지내시지요. ^^

      민주당은 어차피 답이 나올 수 없는 정당이잖어요. 분열을 자초하거나 말거나 한나라당을 도와주는 2중대 역할을 하거나 말거나 그 길이 자기 밥그릇 챙길 수 있는 일이라면 마다 하지 않을 겁니다. 아마 내가 민주당 의원이라고 해도 거기서 다르지 않을 거구요. 나무라거나 비판한다고 해서 답이 나올 문제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덧> 최장집의 얘기는 그냥 공자님 말씀입지요. 꼭 실천하라는 건 아닌.

  2. 윤복현 2009/06/02 08:48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하민혁님 방가 방가요. ..소통을 위한 공간이 되는 듯 해서 좋습니다...^^

  3. cozy 2009/10/28 00:19  댓글주소  수정/삭제  댓글쓰기

    지나가다 좋은글보고 글 남깁니다..

    제가보기엔 최교수님이 '모범정답'을 말씀하시는거 같네요..그동안 민주화운동에서의 열정의 분출은 희망과 실망의 반복이었습니다.. 이제는 좀 더 이성적으로 체계적으로 세력을 모으고, 그 '제도화된 체계'하에서 참신한 진보적 대안을 모색해봐야할 것입니다..체계를 이끌어갈 리더도 계속 충원해야하구요.. 물론 시민단체도 있긴 합니다만, 공식적인 시스템으로서 가장 시민세력의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건 '정당'에서 발휘될 때입니다..따라서 제대로된 정당을 만들어가는 "과정" 자체가 중요한 것입니다..그 과정에서 실수가 있고 실망이 있더라도 멈추지않고 꾸준히 "대안정당"을 만들어가는 일에 매진해야합니다.. 그리고 이 일을 행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마인드는 항상 열려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진보의 생명이기때문이죠..